저는 최근 디지털배움터(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역량 교육 사업)
의 강사로서 강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 처음 강사가 되고 한 고민은 어떤 강의를 진행하는 것이 좋을 지에 대한 것이었습니다. 해당 사업의 주된 목적이 디지털 취약 계층
의 역량 강화에 있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수업은 수요가 많지 않았습니다.
하지만 그렇다 할지라도 잘 하는 것을 수업으로 진행하는 게 맞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 프로그래밍 수업을 개설해봤지만 역시 예상대로 많은 수강생들이 모이지는 않았습니다. 다행하게도 친한 친구가 제게 웹 개발을 배우고 싶다고 해서 수업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.
교육은 스스로의 성장
스프링 부트 기반 웹서비스 개발
에 대해 강의를 진행하면서 친구에게서 생각치도 못한 부분에 대한 날카로운 질문을 받았습니다. 예를 들면 스프링에 의존성 주입이 사용되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이냐
와 같은 질문이었습니다.
질문을 답하는 과정에서 제 스스로가 의존성 주입
에 대한 개념이 확실하게 잡혀져 있지 않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. 아니 스프링 전반에 대한 개념이 부족함을 느꼈습니다. 제대로 알고 있었다면 설명을 제대로 할 수 있었겠지만 그렇지 못했습니다.
결국에는 이에 대한 보충설명을 하기 위해 개념 공부를 하였고, 이 과정에서 저의 부족함을 보완
할 수 있었습니다.
“저는 교육이 아는 것을 일방적으로 알려주는 과정이라고 더 이상 생각하지 않습니다. 교육은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.”
블로그 글 작성의 필요성
학교 팀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스프링 부트를 사용해봤음에도 불구하고, 스프링의 기초적인 개념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습니다. 이 사실을 깨닫게 된 계기는 교육을 진행하는 과정
에서 친구의 질문 덕분이었습니다. 하지만 저는 이와 동일한 효과를 블로그에 글을 적는 행위
로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
블로그에 글을 작성하는 행위는 단순히 글을 적는 행위에 그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. 글을 적는 과정에서 스스로가 제대로 이해했는 지
에 대해 생각하고, 이를 통해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구별
해낼 수 있습니다. 또한 모르는 것을 공부해서 아는 것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.
“이러한 과정을 무수히 반복한다면 아는 것은 늘리고 모르는 것은 줄일 수 있게 됩니다.”
이번 경험을 통해 블로그 글 작성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고, 스프링과 관련된 개념들을 정리하며 완벽하게 이해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.